공동 육아 나눔터 돌봄 공동체 지원사업이란? 지역 중심의 양육친화적 사회환경 조성을 통해 핵가족화로 인한 가족돌봄기능 보완 및 이웃간 돌봄 품앗이 연계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공적돌봄 공급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역사회가 자발적으로 틈새돌봄을 책임지는 공동체성 회복을 통해 지역사회의 공동체 돌봄의 체계를 구축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합니다
공동육아나눔터 돌봄공동체 지원사업
공동육아나눔터 돌봄 공동체 유형
◆ 품앗이형
지역의 공동육아나눔터 등을 기반으로 조성되어 돌봄 활동을 하는 부모 자조 모임 및 품앗이 그룹 등이 있습니다
◆ 마을 공동체형
부모 및 지역 주민이 마을의 커뮤니티 공간을 기반으로 돌봄 활동과 돌봄을 매개로 한 지역 사회 활동을 하는 공동체 등이 있습니다 (북카페, 마을카페, 마을밥상, 마을농장, 쉼터, 녹색가게 등)
◆ 주민 경제조직형
돌봄 활동을 하는 비영리 민간 단체, 협동 조합, 마을 기업, 자활 기업, (예비) 사회적 기업 등 지역 주민이 주도하는 사회적 경제 조직 등이 있습니다
지원대상 및 돌봄대상
- 18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가정(부모 및 자녀)이며 맞벌이 및 비맞벌이 상관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 돌봄대상은 만 0세 ~ 만 12세 이하 돌봄이 필요한 모든 아동입니다
돌봄 공동체 지원사업 지원내용
◆ 이용시간
- 평일 10:00 ~ 18:00 이며 일부 지역은 평일 야간, 주말도 운영합니다
◆ 서비스 내용
- 자녀들의 안전한 돌봄활동을 위한 장소 제공(장난감 및 육아 물품 지원)합니다
- (조)부모 및 양육자, 자녀에게 육아 정보 제공 및 소통 등 정보나눔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 동화구연 등 상시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합니다
- 장난감 및 도서를 대여합니다
- 가족품앗이 유형별 그룹활동 운영을 지원하며(전체모임, 소모임 등) 등하교동행품앗이, 체험활동품앗이,놀이품앗이, 학습품앗이, 예체능취미활동품앗이 등을 지원, 품앗이 리더 양성교육도 지원합니다
신청절차 및 방법
- 인근 시군구 건강가정지원센터를 통해 위치, 운영시간 등 확인하여 방문시 가입신청서 작성 또는 별도 절차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 건강가정지원센터 전화문의 ☎ 1577 - 9337 및 지역 소재 건강가정지원센터
< 사업 수행 기간 >
서울구로구가족센터 https://gurofc.familynet.or.kr 충남홍성군가족센터https://hongseong.familynet.or.kr 전북전주시건강가정지원센터 https://jeonju.familynet.or.kr 대전광역시가족센터https://daejeon.familynet.or.kr 세종시가족센터https://sejong.familynet.or.kr 충남당진시건강가정지원센터https://dangjinfc.familynet.or.kr 충북괴산군가족센터https://goesan.familynet.or.kr 광주남구가족센터https://gjnamgu.familynet.or.kr 전남광양시가족센터https://gwangyang.familynet.or.kr 전북완주군가족센터https://wanju.familynet.or.kr 서울마포구또보자마을학교https://seeuagain.modoo.at 부산해운대구 건강가정지원센터https://haeundae.familynet.or.kr 대구달서구가족센터https://dalseo.familynet.or.kr 대구수성구가족센터https://happy4300.familynet.or.kr 경기광명시가족센터https://gmfc.familynet.or.kr 충북진천군가족센터https://jincheon.familynet.or.kr 경기하남시건강가정지원센터https://hanam.familynet.or.kr 경북구미시가족센터https://gumi.familynet.or.kr 제주시가족센터https://jeju.familynet.or.kr |
이상 공동육아나눔터 돌봄 공동체 지원사업에 대한 내용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양육지원과 저출산, 인구감소로 인한 지방소멸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올 돌봄 지원시설도 더욱 확대되고 아이가 행복하고 부모의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도록 더 많은 양육 지원 대책들이 늘어났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