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와 엄마라는 이름으로 살게 된 지 벌써 6년 차인 유채꽃은 늘 이 고민을 달고 삽니다 평소에 잘 알고 있다 생각하는데도 막상 음식물을 버릴 때 어떻게 분리를 해야 하는지 고민이 될 때가 많습니다 제가 아는 상식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는 동물의 사료나 퇴비로 재 사용된다고 알고 있고 애매한 음식들은 일반 쓰레기로 구분된다고 생각했기에 이번 포스팅은 저처럼 평소에 음식물 쓰레기에 대해 궁금하셨던 부분들을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재활용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와 분리배출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 과정
매일 쏟아지고 있는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 그많은 음식물은 어떻게 처리할까요?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 중 95.3%가 사료나 퇴비 등으로 재활용되며 나머지는 매립 또는 소각 처리를 한다고 합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발열량이 높고 수분이 많아 유기성 물질로 영양소도 충분하여 퇴비나 사료와 같은 유용한 자원으로 재탄생됩니다
재활용된 음식물 쓰레기는 건조과정을 거친 후 사료로 쓰이거나 돼지와 닭 등의 가축들의 먹이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텃밭이나 정원등에 유용한 거름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정제 과정을 거친 후 바이오 가스화가 되어 발전시설과 자동차 연료에 쓰인다고 합니다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키면 토양에 유용한 거름으로 사용되고 유기성 퇴비로 생산과 판매 또한 가능해져 우리의 자원으로 다시 재탄생하게 됩니다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별 배출 방법
1. 음식물 배출 요령
- 물기를 꼭 짠후 최대한 수분을 제거한 후 배출합니다
- 일회용 비닐봉투, 이쑤시개 등 음식쓰레기 외의 이물질은 꼭 제거합니다
- 덩어리가 큰 수박등은 잘게 썰고 폐기물의 크기를 최대한 작게 하여 배출합니다
- 지자체별 배출 요일 및 배출시간을 지켜주세요
- 음식물 쓰레기 전용용기 또는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해 주세요
2. 음식물쓰레기 종류별 분리배출 방법
쪽파, 대파, 미나리 등의 뿌리 / 고추씨, 고춧대, 마른 마늘대, 옥수수대의 껍질, 양파껍질, 생강껍질 요리하고 남은 뿌리나 씨, 마른채소, 껍질 등은 깨끗하게 세척을 하였다해도 흙이 남아있기 때문에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셔야 합니다 |
사과, 귤, 복숭아 살구, 감, 망고 등 과일 껍데기는 모두 음식물 쓰레기입니다 수박 껍질과 바나나 껍질도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는데 배출시는 잘게 잘라 버리셔야 합니다 단, 파인애플 껍데기는 일반쓰레기이므로 함께 버리시면 안됩니다 |
밤, 호두, 땅콩의 껍질은 일반쓰레기 입니다 쌀, 옥수수알맹이, 보리쌀, 콩은 음식물 쓰레기로 배출해 주시면 됩니다 |
육류는 소, 돼지, 닭의 털과 뼈는 일반 쓰레기로 분리해 주셔야 합니다 닭벼는 뼈 자체가 날카롭기 때문에 동물의 먹이로는 위험합니다 그외 제외하고는 음식물 쓰레기로 분리 하시면 됩니다 |
어패류 굴, 조개, 소라, 새우, 가재와 게처럼 딱딱한 껍질과 생선의 가시는 일반 쓰레기로 분리 하시면 됩니다 생선중에 복어는 내장에 독이 있습니다 꼭 일반 쓰레기로 버리셔야 합니다 |
달걀 껍질과 녹차처럼 각종 차 종류, 그리고 한약을 달이고 남은 찌꺼기도 일반 쓰레기 입니다 일반 음식 중에서 강한 양념이나 고춧가루가 묻어다면 물로 세척한 다음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셔야 합니다 특히나 상한 음식은 동물이 먹었을 경우 탈이 날 수 있어 신경써서 분리 배출 하셔야 합니다 |
이상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과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별 분리배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해서 버리는 것은 자칫 귀찮고 가볍게 생각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한번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시면 기억하기 쉬워서 실천하시기 어렵지 않으실 겁니다
버리실 때는 지정된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봉투에 넣어 각 구마다 정해지 요일에 배출하셔야 합니다
일반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와 같이 버릴 때는 10만원에서 최고 30만 원까지 과태료가 부과된다고 하니 저부터 꼭 구분해서 버리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